[카테고리:] Server
-
우분투 서버에 Plex 서버 세팅 하기.
집에서 돌리는 고물딱지 미니 서버가 맛이 가서, 한동안 방치 해뒀다가 지난 주말 동안, 다시 세팅했다. 당연히 우분투 Ubuntu 22.04.2 LTS 로 세팅. 뭔가 더 빠릿빠릿 해진 느낌같은 느낌. 일단 PLEX 서버부터 다시 세팅하는데, 간만에 다시 세팅하느라 ssh원격 접속 환경 방법을 까먹어서 좀 헤맴. 정리겸, 정리용 포스팅.
-
우분투 18.04 LTS 업그레이드 성공
우분투 18.04 가 나온지 1년이 넘도록 업그레이드를 안하고 있다가 오늘 급작스럽게 업그레이드 진행해서 데이터 손실없이 성공! 원래는 16.04 커널이 좀 이상해서 커널만 업데이트 하려고 했는데 그냥 전체 업데이트로 질렀다. 지난번에 16.04 올리다가 지난 블로그를 싹 날린적이 있어서 어찌나 마음이 불안불안 했던지 ? 개인서버 돌린지 10년이 넘어 가는데 별 의미없는 글들만…
-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터미널 SSH 접속하기
구글 클라우드 서버 무료 서비스 써볼까하여.. 아마존 클라우드랑 비교 해봐야겠다. 좀 더 싸면 좋겠는데.. SSH 키 생성하기 ssh-keygen -t rsa -C “구글계정ID@gmail.com” * 다른 키랑 구분되도록 파일명 잘 저장. ex) googleid-gcloudp-key 그럼 /user/username/.ssh/googleid-gcloudp-key.pub 랑 /user/username/.ssh/googleid-gcloudp-key 파일 두개가 생성 된다. (MacOS 기준) googleid-gcloudp-key.pub 파일 열어서 키를 복사해서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의 Compute…
-
우분투 웹서버 세팅하기 – APM+SSH 설치
일단 웹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첫단계 APM 설치. APM은 (Apache, PHP, Mysql)의 첫글자를 딴 말이다. 리눅스 환경에서는 Linux의 L을 붙여서 LAMP라고도 한다. 리눅스 설치하고, 가장 첫 단계는 바로 AMP를 설치하는것! 우분투 데스크탑버전을 설치하면 반드시 따로 터미널 열고 설치해야한다. 기본적으로 난 비전공자라, GUI가 안깔려있으면 왠지 불안해서 항상 데스크탑으로 설치함. 일단 우분투(UBUNTU 16.04…
-
네번째 서버 GIGABYTE BRIX
서버 사망 후. 몇 달 전에 장만한 네번째 서버를 GIGABYTE BRIX로 다시 세팅 ㅜㅜ 여태껏 해왔던데로 우분투 리눅스 16.04 LTS 버전으로 설치했다. 학부시절 학과사무실 정보근로장학생시절에 FTP서버랑 WEB서버를 구축한답시고 설치했던 것이 페도라 리눅스랑 센토스 리눅스. 내가 졸업하고 서버를 관리할 수 있는 학생이 없어서 사망했다고함 내가 메뉴얼도 남겨 뒀는데. 리눅스의 결론은…